한국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국제 협력을 통해 연구 능력을 키웠습니다. 주로 지도교수나 선배들의 도움을 받아 국제 공동 연구나 해외 연수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지속 가능한 협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을 필요로 합니다.
KIST의 국제 협력 활동이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을 잘 보여줍니다. KIST는 세계적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외 연구소를 설립했습니다. 또한, 국제 공동 연구 센터를 운영하고, 국제 프로젝트를 지원합니다.
베트남, 몽골, 인도네시아 등 개도국에 대한 ODA 사업을 통해 한국의 기술 경험을 공유합니다. 서울 S&T 포럼을 통해 글로벌 과학 외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 연구자 개인의 인적 네트워크 활용에서 체계적인 국제 협력 시스템으로 전환 필요
- KIST의 다양한 국제 협력 활동 사례 소개
- 국제 공동연구, 해외 연구소 운영, 국제 과학 행사 개최 등을 통한 연구 역량 강화
- ODA 사업과 국제 과학 외교 활동으로 한국의 기술 발전 경험 공유
- 지속 가능한 국제 협력과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 체계 구축이 중요
국내 연구자의 국제 협력 필요성
오늘날 국제 협력은 사회, 과학,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입니다. 국내 자원과 인력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차원 연구를 위해 국제 연구 협력이 중요해졌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간 중심의 과학기술이 중요해지고, 인문사회 기반의 융합 연구가 강조됩니다.
국제 공동 연구는 필수적인 생존 전략이 되었습니다. 정부의 연구개발 예산 중 국제 협력 예산은 1-2%에 불과합니다. 이는 국제 협력의 수준이 매우 낮은 것을 나타냅니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국제 협력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원과 인력이 부족합니다. 이는 국내 연구자들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와 연구 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국제 협력 연구 프로젝트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치중합니다. 협력 대상국은 유럽과 북미에 집중되어 다양성이 부족합니다. 개발도상국과의 협력과 다양한 규모의 프로젝트 개발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국내 연구자들의 국제 협력 수준을 높이고 범위를 확대해야 합니다.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 최초의 영문 학술지로 등재된 ‘Bulletin of Korean Chemical Society’가 처음으로 SCI에 등재될 때는 2류로 평가되던 우리말로 쓴 과학기술 논문이 등재에 성공했습니다.”
지표 | 수치 | 비고 |
---|---|---|
국제협력 연구 예산 | 5조2천억원 중 28% 수준(2조8천억원) | 2달 만에 16.6% 삭감 후 증가 |
국제학술지 논문 게재 | 우리나라 과학자의 증가 추세 |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에 논문 실림 |
국제협력 다각화 | 선진국 외 개발도상국과의 협력 필요 | 국제협력의 다양성 부족 |
국제 협력의 현황과 과제
한국의 연구자들은 국내 협력에 익숙하지만, 국제 협력에 미흡하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서도 국제 연구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국제 연구 협력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연구자의 국제 협력 현황
한국 연구자들의 국제 협력 수준은 낮지만,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다자간 협력, 정부간 협정, 개발 원조, 인도주의 지원, 분쟁 해결, 기후 변화 대응, 지속 가능한 개발, 공중 보건, 문화 교류 분야에서 국제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연도 | 국제 공동연구 논문 수 | 국제 협력 수준(%) |
---|---|---|
2018 | 2,542 | 33.4% |
2019 | 2,789 | 35.1% |
2020 | 3,012 | 37.2% |
한국 연구자들의 국제 협력 활동은 증가하고 있지만, 선진국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국제 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국내 학계에서는 아직 국제연구협력에 비해 국내연구협력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최근 들어 국제 협력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습니다.”
국제 협력 거버넌스 구축
국제기구와의 협력 체계 구축
한국 연구기관들은 국제 협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연구회는 OECD와 2011년과 2017년에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로 인해 양 기관 간의 연구 협력을 강화했습니다.
최근에는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더 강화하고 있습니다. 연구회는 지난 협력 성과와 한계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전략을 만들고 있습니다.
연구회는 OECD와 화상회의와 사전 수요조사를 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10월에는 대면회의를 통해 협력 방향을 논의했습니다. 이로 인해 기관 간 협력 거버넌스를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국제기구와의 전략적 협력은 국제 협력, 다자간 협력, 공중 보건, 지속 가능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한국 연구기관은 글로벌 이슈에 선도적인 대응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OECD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합니다.
국제 협력 전략 수립
한국 정부는 OECD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기관 간 원칙과 실행 방안을 바탕으로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었습니다. OECD 내 거버넌스 구축은 협력 생태계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OECD와의 협력 전략
한국은 OECD와 함께 국제 협력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성과를 내고자 합니다. 정책 기반을 마련하고 전략적 방향성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 정책 우선순위에 따라 12개국을 선정하여 국제 협력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 일본, 중국, 미국, 인도 등 주요국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합니다. 과학기술 분야 외 새로운 정책 수요에 대응합니다.
- 이차전지 산업 분야에서 국제 협력 전략 지도를 개발하였습니다.
이 노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글로벌 R&D 추진전략”에 기여합니다. 국가 전략기술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국제 협력의 제도화
전 세계적으로 국제 협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 사회 문제 해결에 필수적입니다. 최근 다자간 협력과 정부간 협정이 활발해졌습니다.
개발 원조, 인도주의 지원, 분쟁 해결, 기후 변화 대응, 지속 가능한 개발, 공중 보건, 문화 교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국제 협력을 제도화하기 위해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사이의 협력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ILO와의 협력 과정에서 한국 연구진은 국제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통합적 네트워크 구축과 협업 시스템 구축에 합의했습니다. 또한 연구회와 OECD, ILO 간 국제공동연구 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제도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국제기구 | 협력 내용 | 제도화 현황 |
---|---|---|
ILO | 국제공동연구 추진 | 통합적 네트워크 구축, 협업 시스템 구축 |
OECD | 국제공동연구 | 국제공동연구 로드맵 수립 |
국제 협력의 제도화를 위해서는 각 국가와 국제기구 간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국제 협력을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입니다.
국제 협력 인재 양성
한국은 OECD DAC에 가입하여 국제 개발 협력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국제 협력 분야의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와 전문 기관이 중심이 되며, 국제 개발 협력 전문가들이 모여 있습니다.
그러나 초중등 교육 단계에서 전문성 부족과 전담 교사 부족이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인재 양성 시스템의 과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과학기술 국제 인재 육성
한국연구재단(TPC)의 개도국 과학기술지원단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187명이 동남아시아 최빈국에 파견되었습니다. 이들은 공동연구와 교육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한국 해외봉사단(KOV)은 1990년부터 11,000여 명이 파견되었습니다. 퇴직전문가파견(Korea Senior Experts, KSE)도 50세 이상의 경험을 가진 전문가를 현지에 파견합니다.
국제기구 및 싱크탱크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자 합니다. 국제 협력을 통해 국가정책 연구 성과를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효율성을 증진시키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 파견 인력 | 활동 지역 |
---|---|---|
한국해외봉사단(KOV) | 11,000여 명 | 40여 개국 |
퇴직전문가파견(KSE) | 50세 이상 경험 풍부한 전문가 | 현지 발전 기여 |
개도국 과학기술지원단(TPC) | 187명 | 동남아시아 최빈국 |
“국제기구 및 싱크탱크와의 협력 네트워크를 고도화하고, 국제협력을 통한 국가정책 연구성과의 질적 향상과 효율성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제 협력 연구 환경 조성
세계화가 더 많아지면서 각국은 연구개발에 많은 돈을 투자합니다. 우수한 인재를 찾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 다른 나라로 연구자를 보냅니다. 이로 인해 과학기술 발전을 공유하고 국제적 리더십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의 우수 연구자와 산업계와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연구 성과를 창출합니다. 이 활동은 국제 협력, 다자간 협력, 정부간 협정, 개발 원조, 인도주의 지원, 분쟁 해결, 기후 변화 대응, 지속 가능한 개발, 공중 보건, 문화 교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기간 |
---|---|---|
KIST 유럽연구소 설립 | 에너지·환경·바이오 분야 원천기술 연구 현지 수행, 한·EU 과학기술 협력을 위한 현지 거점 역할 수행 | 1996. 2. 16 |
한ㆍ인도 과학기술협력센터 설립 | 양국 간 과학기술 교류 및 협력 증진 | 2010. 1. 27 |
KIST-UBC 현지 랩 연구 | 목재기반 Bio-Energy 연구개발 | – |
KIST-DFCI 현지 랩 연구 | 암 진단/치료를 위한 분자영상/나노의학 | – |
“국제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역량을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한국은 연구 환경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 간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제 협력
한국 연구자들이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국제 협력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의 과학기술 역량을 높이고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양자·다자간 과학기술 및 학술 협력을 통해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국제 협력 프로젝트 참여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하면 한국이 국제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더 잘 협력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국제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 연구자들이 개발 원조와 인도주의 지원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정부간 협정을 통해 다자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협력 분야 | 협력 내용 | 기대 효과 |
---|---|---|
공중 보건 |
– 감염병 대응 및 백신 개발 협력 – 보건의료 정보 공유 및 기술 이전 |
– 국제사회의 공중 보건 증진에 기여 – 한국 보건의료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 |
기후 변화 대응 |
– 신재생에너지 기술 협력 – 기후변화 관련 정책 및 연구 협력 |
–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국제 공동 대응 – 한국 녹색기술의 세계화 |
개발 협력 |
– 개도국 대상 과학기술 ODA 지원 – 개도국 연구자 역량 강화 지원 |
– 국제개발협력을 통한 글로벌 리더십 제고 – 상호 발전을 위한 개도국과의 파트너십 구축 |
한국 연구자들의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한국의 과학기술 및 국가 경쟁력 제고에 큰 기여를 할 것입니다. 정부와 연구기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국제 협력은 과학기술 분야의 질적 제고와 다양한 분야의 참여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국내 연구자들의 해외 교류와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제고
국제 협력은 국가의 과학기술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국제적인 과학기술 인재와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한국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
정부는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 성과를 늘리고 혁신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4년 글로벌 R&D 예산은 1조 793억 원입니다. 이 중 679억 원은 신규 글로벌 R&D 사업에 할당되었습니다. 이는 전체 예산의 6.9%입니다.
기초연구사업에서도 50% 이상의 선도연구센터가 국제협력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일부 센터는 미국 주요 대학과 협력 MOU를 맺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개발 및 성과확산 사업으로 ’20~’22년 간 1,660억 원의 수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사업 | 예산 | 주요 내용 |
---|---|---|
글로벌 R&D 사업 | 1조 793억 원 | 신규 사업 679억 원 (전체의 6.9%) 포함 |
기초연구사업 | 69.3% | 국제협력활동 수행 중인 선도연구센터 다수 존재 |
우주개발 및 성과확산 | 1,660억 원 | ’20~’22년 간 수출 성과 달성 |
국제 협력 지원 정책
정부는 국제 협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과학기술 분야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분야에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양자 및 다자간 협력 강화와 국제기구 중심의 대규모 국제 협력 프로젝트 참여가 필요합니다.
국제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의 빈곤을 줄이고 경제·사회 개발을 지원합니다. 공적개발원조(ODA)는 정부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자금 지원입니다. 이 국제 협력은 경제 발전, 관계 증진, 국제 평화에 기여합니다.
정부는 다자간 협력과 정부간 협정을 강화해야 합니다. 개발 원조, 인도주의 지원, 분쟁 해결, 기후 변화 대응, 지속 가능한 개발, 공중 보건, 문화 교류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정책화해야 합니다.
“국제개발협력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개발을 지원하는 공공·민간 부문의 모든 활동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이 연구는 국내 연구자들의 국제 협력 필요성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했다. 국제 협력 거버넌스 구축, 전략 수립, 제도화, 인재 양성, 연구 환경 조성 등을 통해 국내 연구자들의 국제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협력은 연구 경쟁력과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노력은 한국의 국제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다자간 협력, 정부간 협정, 개발 원조, 인도주의 지원, 분쟁 해결, 기후 변화 대응, 지속 가능한 개발, 공중 보건, 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다.
향후 국제 협력 증진을 위해 정부와 연구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의 국제 협력이 활발해지고, 한국의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다.
FAQ
국내 연구자가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국내 연구자의 국제협력 현황은 어떠한가요?
국제기구와의 협력 체계는 어떻게 구축되고 있나요?
OECD와의 협력 전략은 어떻게 수립되었나요?
국제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국제기구 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국제 과학기술 인재 육성을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요?
정부의 국제협력 지원 정책은 어떠한가요?
소스 링크
-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800003231
- https://yuhs.severance.healthcare/research/project/news.do?mode=download&articleNo=65417&attachNo=22126
-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62563
- https://www.bioin.or.kr/board.do?num=326640&cmd=view&bid=infrastructure
- https://www.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act=view&list_no=0&otp_id=OTP_0000000000004815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65648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8794269
- https://www.nrc.re.kr/board.es?mid=a30200000000&bid=0044&act=view&list_no=176089&tag=&nPage=1&issue_cd=35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34109
- https://s-space.snu.ac.kr/bitstream/10371/96337/1/4.민병원_글로벌-보건거버넌스와-국제협력-메커니즘의-변화.pdf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381731
- https://www.bioin.or.kr/board.do?num=324431&cmd=view&bid=policy&cPage=1&cate1=all&cate2=all2&s_key=title&s_str=&sdate=&edate=&listCnt=50
- https://www.inss.re.kr/upload/bbs/BBSA05/202012/F20201204134007323.pdf
- https://www.kipa.re.kr/site/kipa/research/selectBaseView.do;jsessionid=23EC72E8BE7C648C778995A9A4447A96?gubun=BA&se=BA&seqNo=BASE_000000000000772
- https://seoulsolution.kr/sites/default/files/세계와도시 6호 기획1.pdf
-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1010000&bid=0001&act=view&list_no=1630&cg_code=C01
- https://www.kistep.re.kr/boardDownload.es?bid=0031&list_no=93445&seq=1
- http://www.kist.re.kr/ko/notice/status-of-international-cooperation.do
- https://www.mofa.go.kr/www/wpge/m_3816/contents.do
- https://www.kcue.or.kr/work/sub09/sub01.php
- https://www.fsc.go.kr/po010107?srchCtgry=7
- http://mybudget.mytable.co.kr/upload/bbs/1/bbs_20231124120142.pdf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321424
-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91904
- https://www.odakorea.go.kr/core/file/viewFileDown?fileId=FILE_000000000001188